Space Design Architecture 

‘인간’과 ‘환경’을 ‘배려’하는 공간환경을 ‘연출’하다.

  • 창의적인 생각으로 디자인을 할 수 있는 디자이너 교육
  • 국내외 디자인 분야에서 선도적으로 나아갈 수 있는 디자이너 교육
  • 전문화 및 맞춤식 교육을 통한 전문 디자이너 교육 및 인재 양성
  • 국제화 시대에 맞는 종합 디자이너로서의 실무 능력 배양

건축학과는 인간과 환경의 공존이라는 대의 아래 우수한 건축물과 공간 환경을 창출하는 전문가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건축학과에 입학하여 생활 공간, 사회, 문화의 공공성의 가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통합적 환경 연출 기법(기획, 설계, 개선)을 습득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IT 를 접목한 BIM(Buinding Information Modeling)설계 능력을 배양한 후 건축 관련 다양한 국가자격증 또는 국제적인 자격증을 취득합니다. 본 학과에서 양성되는 ‘건축 디자이너’는 기존의 단순하게 조형성만 추구하는 건축을 넘어 인간의 생활에서 문화, 여가에 이르는 다양한 공간의 통합적 행위 요구를 친환경 BIM 설계 기술로 공간 환경 연출이 가능한 전문가입니다. 졸업 후 건설 관련 공기업, 건설회사, 설계사무소, 건축구조 및 설비전문회사, 헬스케어건축 전문회사, 무대 및 전시, 테마파크 연출전문회사, 공공디자인 및 경관설계 전문회사 등에서 활동하며 지구 환경의 미래를 책임질 윤리적인 소양을 갖춘 건축물 및 공간 환경 조성 전문가로 성장합니다.

Professor

Yunhee Lee


올해의 여름은 너무 길었습니다. 이러한 지구 환경의 심각성은 직접적인 우리의 생활에 영향을 주며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건축 전문가로서 성장해 나가며 친환경 건축 구현, 친환경 생활 실천은 가장 기본적인 윤리 덕목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1년간 여러분이 고민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며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 냈습니다. 

물론 실현되지 않는 가상의 건축물들이지만 그 가치는 매우 높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더 큰 성장에 밑거름이 되는 시간이었다고 자부합니다. 


너무 수고 많으셨습니다. 더 나은 미래를 만드실 거라 믿습니다. 사랑합니다

Joosung Kim


올해로 신구대학교는 개교 50주년을 맞이했고 우리 건축학과는 벌써 12살의 나이를 먹었습니다. 학교에서 시간의 흐름은 매년 반복되는 것 같지만 매년 새로운 기억으로 남게 됩니다. 이제 여러분들의 학교생활을 정리하는 시간을 맞이하여 같이 생각해 보고 싶습니다.


입학하면서 꿈꿔왔던 건축의 길은 앞으로도 계속 걸어가고 싶은 길일까?

몸도 마음도 힘들었던 지난 시간 노력의 결과가 나에게 어떤 의미로 기억될까?

내일을 생각할 때 지금 이 순간의 기억과 감흥은 나에게 어떤 의미를 줄 수 있을까?


졸업전시를 맞이하며 여러분들은 어떤 생각이 드나요? 힘들었던 시간을 흐뭇하게 되돌아보게 하는 추억의 한 조각을 가지게 될까요? 혹은 다시 생각하고 싶지 않은 악몽과도 같은 시간이 되어 기억 저편으로 사라지기를 바라게 될까요? 어느 쪽일지라도 우리의 대학 생활은 영원히 기록될 역사의 흔적이며 중요한 삶의 순간들로 남게 될 것입니다. 모쪼록 힘들었던 지난 순간들이 보람되고 의미 있었던 과정으로서 여러분의 몸과 마음, 그리고 정신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더불어 아직도 미래를 꿈꾸는 여러분들의 걱정거리가 조금이라도 덜어지기를 바랍니다.

Bokgi Sim


유난히 무더웠던 올해 

끝나지 않을 것 같았는데 

어느덧 아침저녁으로 선선해지고 

오히려 쌀쌀하게 느껴지는 

가을이 오네요. 


무더운 여름 동안

작품과 씨름했을 여러분이 

참으로 많이 고생했을 것 같네요.


3학년 여러분, 졸업전시회 축하합니다. 그동안 수고 많았습니다.

Dongwon Lee


졸업작품전을 축하합니다! 

긴 시간 동안 열심히 준비해 온 노력이 멋진 결과로 나타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여러분이 고민하고 연구하며 만들어낸 작품과 경험이 앞으로의 건축가로서의 길에 큰 자산이 될 거라 믿습니다. 


여러분이 그동안 보여준 열정과 노력은 졸업 후에 마주할 산업현장의 빠른 변화에도 훌륭히 적응하며 발전하리라는 믿음을 주기에 충분했습니다. 지금의 모습으로 늘 어려움에 도전하고 새로움에 호기심을 잃지 않길 응원하며 여러분의 만들어갈 멋진 프로젝트들을 기대합니다. 다시 한번 축하드립니다!

History
2013


- 신구대학교 공간디자인과 건축디자인전공(3년제) 신설

- 제 1회 신입생 42명 입학

- 제 1회 건축전 및 과제전 전시

2014


- 제 2회 신입생 40명 입학

- 제 2회 건축전 및 과제전 전시

2015


- 제 1회 졸업작품전시 실시

- 제 3회 과제전 전시

- 제 3회 신입생 43명 입학

- 건축전공으로 전공명 변경

- 2015년 한국리모델링 건축대전 특선 및 입선 다수

2016


- 제 1회 졸업식 실시

- 제 4회 신입생 43명 입학

- 제 2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4회 과제전 전시

- 2016년 경기건축전 및 건축대전 입상 다수

2017

- 제 2회 졸업식 실시

- 제 5회 신입색 40명 입학

- 제 3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5회 과제전 전시

- 2017년 경기건축전 및 건축대전 입상 다수

- 2017년 대한민국 창의력 공모대전 본상 수상 다수

2018


- 제 3회 졸업식 실시

- 제 6회 신입생 42명 입학

- 제 4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6회 과제전 전시

- 2018년 경기건축전 및 건축대전 본상(동상) 수상 및 입상 다수

- 2018년 대한민국 창의력 공모대전 본상 수상 다수


2019


- 제 4회 졸업식 실시

- 제 7회 신입생 44명 입학

- 제 5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24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  6팀 입선
  •  2팀 특선

- 제 55회 2019 경기건축대전

  •  1팀 입선(주니어)

- 2019년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1팀 우수 발표 논문상

- 2019년 대한민국 창의력 공모대전

  •   1팀 최우수상
  •   1팀 우수상
  •   1팀 특선
  •   2팀 입선
2020


- 제 5회 졸업식 실시

- 제 6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8회 신입생 45명 입학

- 제 25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  7팀 입선
  •  2팀 특선

- 2020 경기건축대전 주니어 부분

  • 4팀 본선진출

- 2020 국제사이버디자인트렌드공모전

  • 1팀 입선
2021


- 제 6회 졸업식 실시

- 제 7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9회 신입생 44명 입학

- 제 26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  5팀 입선

- 제16회 차세대 문화 공간 공모전

  • 1팀 입상

- 제 57회 경기건축대전 

  •  2팀 입선

- 2021 국제사이버디자인렌드 

  •  1팀 특선
  •  4팀 입선
2022


- 제 7회 졸업식 실시

- 제 8회 졸업작품전 실시

- 대만타이난응용과기대학교 교류전 실시

- 제 10회 신입생 43명 입학

- 제 27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  6팀 입선

- 미래환경 디자인 STEAM 스쿨 개최

- 홈스타일링 기초과정 전시

- 한국 문화공간 건축학회 우수논문상

  •  1팀 

- 2021 국제사이버디자인트렌드 

  •  2팀 입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교육상 수상


2023


- 제 8회 졸업식 실시

- 제 9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11회 신입생 43명 입학

- 제 28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  2팀 입선
  •  2팀 특선
2024


- 제 9회 졸업식 실시

- 제 10회 졸업작품전 실시

- 제 12회 신입생 39명 입학

- 제 29회 경기도 건축문화상

  •  1팀 특선
  •  4팀 입선